본문 바로가기

pm-r.tistory.com

(187)
Muscle stretch reflexes 근육 신장 반사 patellar tendon reflex 등의 근육 신장 반사 monosynaptic reflex 으로 생각됨 해머로 patellar tendon을 쳐서 quadriceps 근육을 갑작스럽게 스트레칭 시키면 alpha motor neuron을 활성화시켜 quadriceps muscle을 수축시킨다. (반대로 길항근에는 inhibitory interneuron의 활성화로 근육 수축이 감소 – reciprocal inhibition)
Goigi tendon reflex 근육과 근육부착점 사이 건(tendon)에는 Golgi tendon organs이 있다. tendon의 긴장도(tension)를 척수레벨로 전달해주는 역할 척수에서 inhibitory interneurons에 시냅스를 이루어 근육에 tension 증가하면 inhibitory interneurons을 활성화 시켜 alpha motor neuron을 억제시켜 근 수축을 감소시킨다. Golgi tendon organ
근육의 Gamma system 근육이 얼마나 수축해 있는지 어떻게 감지하는가? 근육의 신장 정도가 변하는지 어떻게 감지하는가? 스트레칭 운동의 효과는 무엇인가? efferent fiber로는 alpha & gamma montor neuron이 있다. – motor! afferent fiber로는 I & II afferent fiber가 있다. – sensory! > alpha motor neuron 활성화 되기 전에는 근육이 신장되어 있으므로 group I & II afferent axon에서 ‘떠있는 상태(on the air)’ 정보를 spinal cord로 전달 – (첫번째 그림) > alpha motor neuron이 활성화되면 – (a 그림) > extrafusal fiber 수축 – (a 그림) > muscle spindle..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 켄 블랜차드 '뒤통수 치기 반응'을 버리고 '고래 반응'을 배워라! 칭찬 10계명칭찬할 일이 생겼을 때 즉시 칭찬하라잘한 점을 구체적으로 칭찬하라가능한 한 공개적으로 칭찬하라결과보다는 과정을 칭찬하라사랑하는 사람을 대하듯 칭찬하라거짓없이 진실한 마음으로 칭찬하라긍정적인 눈으로 보면 칭찬할 일이 보인다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더욱 격려하라잘못된 일이 생기면 관심을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라가끔씩 자기 자신을 칭찬하라 책 표지에 전 GE 사장 잭 웰치는 어린 시절 심한 말 더듬이어서 놀림감이 되곤 했다. 이런 잭 웰치에게 어머니는 "네가 말을 더듬는 이유는, 생각의 속도가 너무 빨라서 입이 그 속도를 따라주지 못하기 때문이란다. 걱정 말아라. 너는 커서 큰 인물이 될 것이다."라고 늘 격려했다. 작가 서문 1976년 나와 ..
복합국소통증증후군 CRPS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복합국소통증증후군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자율신경계의 조절곤란으로 유발된 혈관운동의 변화, 부종, 운동 변화, 운동범위의 제한, 통증 및 최종적 골 변화의 현상으로 인식되는 만성적 신경계 질환 외상, 사지에 영향을 미치는 신경의 손상이나 골절에 의한 불균형적 변화뿐 아니라 뇌졸중이나 심근경색, 척수손상과 같은 내부기관의 손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와 일상생활동작에 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견관절 아탈구, 편측 무시 등 발생 위험 인자들이 뇌졸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어 뇌졸중과 밀접한 연관
섬유근통 fibromyalgia 전신적인 근육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 통증 외에도 허약감과 피로, 수면장애등이 동반 과민성 대장증후군, 어지러움, 두통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 생리적 해부학적인 특징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음 특정부위에 통증에 대한 역치가 감소 만성적으로 여러 유발인자에 의해서 악화 병태생리 하나의 원인으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1) 유전적인 요인 (2) 감염, 신체적 외상, 스트레스, 비극적인 사건 등 자극 (3) 통증 같은 감각자극의 잘못된 처리 (4) 자율신경계와 신경내분비 계통의 이상 (1) 유전적 요인 Arnold 등의 연구에 따르면 직계 가족에서 섬유근통이 발생할 확률이 8배가 높다고 발표 이는 상당히 높은 유전적인 관련성 섬유근통 환자 가족들은 통증에 민감 과민성대장증후군..
근막통증증후군 myofascial pain syndrome 근막통증증후군은 근막통증유발점으로 유발된 감각, 운동, 자율신경계의 이상 증상을 통칭 병태생리 근막통증유발점은 해부병리학적 검사나 임상병리학적인 검사를 통해서 명확하게 진단할 수는 없다. 근막통증유발점을 자극하였을 때 통증이 유발 각각의 근육에서 나타나는 근막통증유발점은 개인차가 없이 유사한 곳에 나타나며 통증의 양상 및 전이통 양상이 일치되어 나타난다. 근막통증유발점의 치료를 통해서 통증의 감소를 임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근막통증증후군의 병태생리는 명확한 이론으로 설명되기는 어렵고 말초감작과 중추감작의 상호작용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말초감작 - Simons에 의한 Integrated hypothesis이론 신경의 말단에서 아세틸콜린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분비 > 근세포질세망(sarcoplasmic..
근육통증 근육의 통증은 한 번의 강한 충격 또는 반복되는 근육의 손상으로 인해서 근육이 짧아지거나 근육의 긴장도의 증가로 인해 나타난다. 근육통증은 임상에서 흔하게 접하는 질환으로 근막통증증후군과 섬유근통이 있다. 위치에 따른 분류 근육손상 - 근육 염좌와 파열 근육병 말초신경의 손상 - 말초신경병증 중추신경계 손상 - 중추감작으로 인한 연관통과 통각과민, 이질통 전신적인 문제 - 섬유근통 병태생리 통증 - 수용체에서 시작되어 말초신경을 지나 후근신경절, 척수, 시상을 지나 대뇌 피질로 전달 통증 전달과정에서 근육 통증수용체에서 말초감작과 중추신경계에서 중추감작에 의해 통증이 나타난다. 강한 자극에 의해서 자극부위 중추신경계의 다른 신경전달 경로를 따라서 연관통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