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MUSCULOSKELETAL MEDICINE

섬유근통 fibromyalgia

전신적인 근육통증이 3개월 이상 지속
통증 외에도 허약감과 피로, 수면장애등이 동반
과민성 대장증후군, 어지러움, 두통 등 다양한 증상을 호소

생리적 해부학적인 특징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음
특정부위에 통증에 대한 역치가 감소
만성적으로 여러 유발인자에 의해서 악화


병태생리
하나의 원인으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복잡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1) 유전적인 요인
(2) 감염, 신체적 외상, 스트레스, 비극적인 사건 등 자극
(3) 통증 같은 감각자극의 잘못된 처리
(4) 자율신경계와 신경내분비 계통의 이상


(1) 유전적 요인
Arnold 등의 연구에 따르면 직계 가족에서 섬유근통이 발생할 확률이 8배가 높다고 발표
이는 상당히 높은 유전적인 관련성
섬유근통 환자 가족들은 통증에 민감
과민성대장증후군과 턱관절질환, 두통, 국소통증증후군이 많이 관찰된다.
연구되고 있는 유전자 :
serotonin transporter gene, catechol-O-methytransferase gene variants

(2) 자극
신체적인 손상 및 외상과 정신적인 스트레스
감염, 호르몬의 변화와 약물과 백신
전쟁이나 심한 교통사고 등
신체적인 손상
신체, 특히 체간의 외상,
C형 간염, Epstein-Barr virus, parvovirus, Lyme disease  같은 감염,
정서적인 스트레스

(3) 잘못된 감각자극 처리
통각과민, 이질통의 형태의 감각자극의 현상을 자주 관찰
정상인에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가벼운 자극을 받았을 때 정상이상의 통증을 호소
섬유근통환자가 느끼는 통증의 강도는 정상인에서 2배 이상의 강한자극을 주었을 때 나타나는 통증과 같다.
 
기능적 뇌기능검사 연구
단일광자방출전산화단층촬영(SPECT)연구
- 정상인과 비교하였을때 섬유근통 환자에서 뇌 감각 처리 영역에서 뇌혈류의 감소 소견이 관찰된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검사
- 뇌 통증처리 부위에서 일반인들 보다 작은 자극에서도 뇌 기능이 활성화 되는 것을 관찰
통증에 관련된 중추 신경계의 기능적인 이상을 확인

통증전달에 관련된 신경전달물질(substance P, glutamate 등)의 변화
통증을 억제해주는  descending anti-nociceptive pathway의 활성도 감소 관찰
norepinephtine, serotonin, opioid의 이상

(4)  자율신경계와 신경내분비 계통의 이상
교감신경을 포함한 자율신경계의 이상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에서 스트레스 반응 체계의 이상
대부분은 교감신경과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의 항진으로 나타나나 
일부에서는 반대로 나타나는 소견이 관찰
이러한 변화는 통증이나 다른 증상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일 수 있기 때문에 섬유근통의 병태생리의 분명한 원인으로 하기에는 제한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