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증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에서는 ‘통증이란 실재적 또는 잠재적인 조직의 손상에 수반되거나 또는 그와 같은 손상의 면에서 기술된 불쾌한 감각적이고 감정적인 경험’으로 기술하고 있고, Mountcastle은 통증을 상해 또는 조직파괴를 일으키는 자극으로 야기되는 감각적 경험이라고 정의하였다.
통증 감소효과는 Melzack과 Wall이 발표한 관문조절설(gate control theory)과 Sjolund와 Erickson의 내분비설(endogenous theory)로 설명되고 있다.
경피전기신경자극치료의 정확한 기전에 대하여는아직 논란이 많다. 최소한의 감각이 올 정도의 저강도 및 고빈도로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고주파 경피전기신경자극 치료의 경우에는 직경이 큰 구심성 섬유가 활성화될 때 척수수준에서 통각의 전달을 차단한다는 관문조절설로 기전을 설명하며 진통작용이 빠르게 나타나나 지속시간이 짧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통증이 없는 감각성 신경병증, 자극 후 진통효과의 계속적인 지속, 지연된 진통효과의 발현등에 대하여는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해 대두된 것이 중추 신경계의 내인성 아편양계(endogenous opioid system)가 신경자극치료의 기전에 관여한다는 생화학적 이론으로 고강도 및 저빈도로 자극 시 서서히 나타나 지속적인 진통효과를 볼 수 있는 저주파 경피전기신경자극 치료의 기전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정상인에서는 효과가 없었으나 피부경화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게 혈관확장에 의한 피부 관류의 증가와 말초 혈액 순환이 증가됨으로서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보고도 있었다.
침술(acupuncture)은 1970년대에 동양의학이 서양의학에 소개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되었는데 다른 분야에 비해 침술학이 많이 연구된 것은 서양의사들에게 가장 친숙한 도구 중 하나가 바늘이기 때문이 아닌가 추측된다. 특히 1970년대 초, 침술 마취 하에 수술이 시행된 후 침술에 대한 연구는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었는데 이는 철학과 형이상학을 그 이론의 바탕으로 하고 있는 동양의학의 여러 현상들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해 보려 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연구방향을 보면 해부조직학적 연구, 전기자장학적 연구, 신진대사 및 내분비학적 연구, 심신의학적 연구 등이 있다. Wall은 침술은 자기 선택적이며 이미 조건화된 환자에게서 효과적인 최면의 한 방법이라 하였고, Kroger는 Hypnosis 암시와 조건화로 설명하는 등 초기의 침술의 이해는 심신의학적 측면에서부터 시작하여 경혈(acupuncture point)의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측면을 밝히려는 데 초점을 두었다. 경혈은 주변의 피부보다 전기적 전도성이 뛰어나고 신경 조절에 관여하며 말초신경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1980년 Frost등은 동통 유발점(trigger point), 근육운동점(motor point)과 경혈과도 관련성이 높다고 하였다.
침술에 의한 생전기학적 척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말초신경, 척수, 변연계, 시상하부 등에서 증명되었으며, 관문조절설 또한 중추신경계를 통한 통증 조절의 기전으로 설명되었다. Endorphin과 내부아편수용체(internal opiate receptor)의 발견 역시 침술의 통증 감소 기전을 밝히는데 새장을 열었는데 1974년 Mayer등은 naloxone이 침술로 유발된 통증 감소 효과를 차단하므로 침술이 endorphin의 분비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1974년 Siegele과 1976년 Sjolund와 Erickson은 침술 치료 이후 척수액에서 증가된 endorphin을 발견하였다.
大韓再活醫學會誌:第23 卷 第3 號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Vol. 23, No. 3, June, 1999
636
저주파 및 고주파 침 경피신경자극이 정상 성인의
통증 역치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및 1약리학교실
김상범․윤기성․곽 현․하남진․이용언1
통증 감소효과는 Melzack과 Wall이 발표한 관문조절설(gate control theory)과 Sjolund와 Erickson의 내분비설(endogenous theory)로 설명되고 있다.
경피전기신경자극치료의 정확한 기전에 대하여는아직 논란이 많다. 최소한의 감각이 올 정도의 저강도 및 고빈도로 말초신경을 자극하는 고주파 경피전기신경자극 치료의 경우에는 직경이 큰 구심성 섬유가 활성화될 때 척수수준에서 통각의 전달을 차단한다는 관문조절설로 기전을 설명하며 진통작용이 빠르게 나타나나 지속시간이 짧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통증이 없는 감각성 신경병증, 자극 후 진통효과의 계속적인 지속, 지연된 진통효과의 발현등에 대하여는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해 대두된 것이 중추 신경계의 내인성 아편양계(endogenous opioid system)가 신경자극치료의 기전에 관여한다는 생화학적 이론으로 고강도 및 저빈도로 자극 시 서서히 나타나 지속적인 진통효과를 볼 수 있는 저주파 경피전기신경자극 치료의 기전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정상인에서는 효과가 없었으나 피부경화증, 당뇨병성 신경병증 환자에게 혈관확장에 의한 피부 관류의 증가와 말초 혈액 순환이 증가됨으로서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보고도 있었다.
침술(acupuncture)은 1970년대에 동양의학이 서양의학에 소개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되었는데 다른 분야에 비해 침술학이 많이 연구된 것은 서양의사들에게 가장 친숙한 도구 중 하나가 바늘이기 때문이 아닌가 추측된다. 특히 1970년대 초, 침술 마취 하에 수술이 시행된 후 침술에 대한 연구는 아주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었는데 이는 철학과 형이상학을 그 이론의 바탕으로 하고 있는 동양의학의 여러 현상들을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해 보려 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연구방향을 보면 해부조직학적 연구, 전기자장학적 연구, 신진대사 및 내분비학적 연구, 심신의학적 연구 등이 있다. Wall은 침술은 자기 선택적이며 이미 조건화된 환자에게서 효과적인 최면의 한 방법이라 하였고, Kroger는 Hypnosis 암시와 조건화로 설명하는 등 초기의 침술의 이해는 심신의학적 측면에서부터 시작하여 경혈(acupuncture point)의 해부학적 및 생리학적 측면을 밝히려는 데 초점을 두었다. 경혈은 주변의 피부보다 전기적 전도성이 뛰어나고 신경 조절에 관여하며 말초신경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1980년 Frost등은 동통 유발점(trigger point), 근육운동점(motor point)과 경혈과도 관련성이 높다고 하였다.
침술에 의한 생전기학적 척도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말초신경, 척수, 변연계, 시상하부 등에서 증명되었으며, 관문조절설 또한 중추신경계를 통한 통증 조절의 기전으로 설명되었다. Endorphin과 내부아편수용체(internal opiate receptor)의 발견 역시 침술의 통증 감소 기전을 밝히는데 새장을 열었는데 1974년 Mayer등은 naloxone이 침술로 유발된 통증 감소 효과를 차단하므로 침술이 endorphin의 분비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하였으며, 1974년 Siegele과 1976년 Sjolund와 Erickson은 침술 치료 이후 척수액에서 증가된 endorphin을 발견하였다.
大韓再活醫學會誌:第23 卷 第3 號
J. of Korean Acad. of Rehab. Med.
Vol. 23, No. 3, June, 1999
636
저주파 및 고주파 침 경피신경자극이 정상 성인의
통증 역치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재활의학교실 및 1약리학교실
김상범․윤기성․곽 현․하남진․이용언1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 ASSOCIATED TOPICS IN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0) | 2014.11.03 |
---|---|
FIM instrument (0) | 2014.01.24 |
Neurogenic bladder (0) | 2012.04.26 |
Wheelchair 휠체어 (0) | 2010.03.30 |
Pseudodementia (0) | 2010.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