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다음 중에서 국제 척추손상 신경학적 분류법에서 정한 주감각부위와 해당 감각신경피절의 연결이 옳은 것은?

Q. 다음 중에서 국제 척추손상 신경학적 분류법에서 정한 주감각부위와 해당 감각신경피절의 연결이 옳은 것은? (07 IT)

가. 쇄골 상와 (supraclavicular fossa) 의 끝 부분(apex)-경수 4번 (C3)

나. 중지(middle finger)의 근위지골 손바닥 부위-경수 7번 (손등 부위)

다. 겨드랑이 접하는 부분 (apex)-흉수 2번

라. 내측 복사 (med malleolus) 부위-요수 5번 (L4)

마. 좌골 결절 (ischial tuberosity) 부위-천수 2번 (S3)















가. 쇄골 상와 (supraclavicular fossa) 의 끝 부분(apex)-경수 4번 (C3)

나. 중지(middle finger)의 근위지골 손바닥 부위-경수 7번 (손등 부위)

다. 겨드랑이 접하는 부분 (apex)-흉수 2번

라. 내측 복사 (med malleolus) 부위-요수 5번 (L4)

마. 좌골 결절 (ischial tuberosity) 부위-천수 2번 (S3)







 

Q. 미국척수손상학회에서 분류한 표준 신경 분류의 주감각점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08 IT

가. C3-견봉쇄골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

나. C5-엄지손가락 등쪽

다. T3-겨드랑이

라. L3-무릎관절내측

마. S2-발뒤꿈치의 외측







가. C3-견봉쇄골관절 (acromioclavicular joint)

나. C5-엄지손가락 등쪽

다. T3-겨드랑이

라. L3-무릎관절내측

마. S2-발뒤꿈치의 외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