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87)
공던지기 투수 인대 손상 SLAP lesions - deceleration phase of the overhead throw - late cocking phase of an overhead throw Ulnar Collateral Ligament Trauma throwing의 late-cocking과 acceleration phase에서 most significant stress 발생
knuckle bender orthosis - common "knuckle bender orthosis" is used to stretch extension contracture at the MCP joints
ASIA : Ankle plantar flexor의 근력측정 ASIA : Ankle plantar flexor의 근력측정 그림과 같은 자세에서 검사자의 손바닥을 밀어 발꿈치를 바닥에서 떨어지게 만들 수 있으면 Gr III이다.
어깨를 움직이는 근육들 Shoulder Abd – SS, Lat. delt ER – Post. delt, IS, T. minor IR – T. minor, LD, Sub sca, Ant. delt, P. major
hip ROM 측정의 시작위치 hip ROM 측정의 시작위치
뇌졸중 환자에서 보이는 비정상 자발전위 근전도상 휴식기의 근세동 전위와 양성 예각파인 비정상 자발전위(abnormal spontaneous activty)의 존재는 하부신경원 질환을 의미하는 전형적인 소견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상부 신경원 질환, 특히 뇌졸중 환자의 편마비측에서 확인되는 비정상 자발전위 발생에 대한 많은 연구가 보고되어 왔다. 뇌졸중 환자에서 보이는 비정상 자발전위 발생의 빈도에 대해서는 Goldkamp는 56.8%에서 근세동전위와 69.6%에서 양성 예각파를 발견하였고, Kingery등은 마비측 상지에서 68%, 마비측 하지에서 70%를 관찰하였으며 박등은 30.4%에서 비정상 자발전위를 보고하였으나, 비정상 자발전위를 발견하지 못했던 Alpert등은 말초신경 장애가 편마비환자에서는 없다고 주장하였다. 1996년 박등의 연구에..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 근전도 검사는 탈신경소견을 보이기 전의 급성기와 생리적 신경차단과 같은 축삭변성을 일으키지 않는 경미한 병변에서는 비정상소견이 나 타나지 않으며, 복측 신경근 이상 이외에는 평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F 파 검사, H 반사검사와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 등의 다양한 전기진단학적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F 파 검사는 운동신경근 이상만을 감지하는 단점이 있고, H 반사검사는 복측 신경근과 배측 신경근의 이상을 모두 감지하지만 제 1천수 신경만을 검사하는 제한점이 있다.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는 감각신경계의 이상을 알아내는 방법으로 침근전도 검사에 의한 신경근병증의 진단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보조적 진단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에는 복합신경 체성감각유발전위 검사..
Lumbar radiculopathy 요통은 성인의 60∼80% 이상이 평생 동안 한번 이상 경험하는 매우 흔한 근골격계 질환의 하나이다. 한 등의 연구에서 제시한 6개의 근육(척추주위근, 내측광근, 전경골근, 단지신근, 장비골근, 내비복근)에 침근전도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내측광근을 제외한 근육에서 비정상 자발전위가 관찰되면 추가로 대퇴근막장근과 대둔근에 침근전도 검사를 실시 PSM(multifidus), VM, TA, EDB, PL, GCM(M) –> ASA (except VM) + –> TFL, G. medius H-reflex : S1 radiculopathy http://pdf.medrang.co.kr/paper/pdf/Jkarm/Jkarm029-05-04.pdf